|
|
|
|
|
|
|
|
여론조사 벽에 부딪힌 미디어위 ‘좌초 위기’
여당측 “1년간 ‘미디어법=악법’ 대국민 선동 해놓고...” 야당측 “여론조사 거부는 국민 의견 무시하겠다는 것” |
|
미디어 관련 법안을 논의하는 사회기구인 미디어발전국민위원회(이하 미디어위)가 여론조사 실시 여부를 두고 첨예한 대립을 보이고 있다. 미디어위는 15일 국회에서 전체회의를 열고 여론조사 실시 여부를 논의했지만, 뚜렷한 입장차만 확인한 채 성과 없이 끝났다. 민주당 추천 위원들은 이날 회의가 끝난 후 국회 브리핑을 통해 “여당측 위원들이 국민 여론수렴을 반대했다”고 비난했고, 한나라당 추천 위원들은 “오히려 국민의견을 왜곡하는 여론조사가 될 것”이라고 반박했다. 강상현 공동위원장을 비롯한 민주당 추천 위원들은 브리핑에서 “일반 국민뿐만 아니라 전문가들 여론도 조사하고, 다양한 방식으로 의견을 청취하자고 제안했는데 거부당했다”며 “여당측 위원들은 국민 의견을 들을 의사가 없다는 것이 드러났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정교한 여론조사를 하려면 2~3주 정도의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5월말 이후가 되면 거의 불가능하다”며 “한나라당측 위원들이 여론조사를 거부할 경우 미디어위에 계속 참여할 지 여부를 심각히 재고할 것”이라고 압박했다. 반면, 한나라당 추천 한 위원은 <프리존뉴스>와의 통화에서 “미디어법 전문가들이 모였다는 미디어위 위원들조차도 신문, 방송, 인터넷, IPTV 등 모든 미디어들을 전부 이해하지는 못하고 있고, 미디어법이 통과되면 어떤 양상이 벌어질 지에 대해서도 정확히 예측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라며 “진정한 국민 의견을 수렴하는 여론조사가 될 수 없다”고 말했다. 이 위원은 또 “지난 1년 동안 MBC를 중심으로 ‘미디어법=악법’이라고 일방적 대국민 선전.선동을 해놓고, 지금 국민들에게 미디어법 찬반 여부를 묻겠다는 것은 정략적 발상이고 정치쇼”라고 주장했다. 그는 “여당측에선 국민들이 미디어 서비스를 어떤 방식으로 향유하고 있는지 조사해서 잘못된 것은 고치고 괜찮은 것은 유지.발전 시키는 쪽으로 여론을 수렴하자고 제안했지만 야당측이 반대했다”며 “야당측이 주장하는 여론조사는 ‘미디어법 저지 명분찾기’ 밖에 안 된다”고 반박했다. 한편, 이날 전체회의에서 위원들은 최시중 방통위원장의 ‘연내 종합편성 채널 도입’ 발언과 민주당 정세균 대표의 ‘미디어법 표결처리 약속한 적 없다’는 언급을 놓고 팽팽한 신경전을 펼쳤다. 야당 추천 위원들은 “최시중 위원장의 발언은 미디어위를 무력화하겠다는 것”이라며 발끈했고, 여당 추천 위원들은 “정세균 대표는 미디어위가 구성된 근간인 여야 간 합의를 부정하는 발언을 했다”고 맞섰다. 위원들은 결국 미디어위 명의로 최 위원장과 정 대표에게 발언의 진의를 확인하는 질의서를 각각 보내는 것으로 논쟁을 일단락 했다. 프리존뉴스 엄병길 기자 (bkeom@freezonenews.com) [세상을 밝히는 자유언론-프리존뉴스/freezonenews.com] Copyrights ⓒ 2005 프리존뉴스 - 무단전재, 재배포 금지 |
|
![]() |
|
뉴스소개
|
광고제휴
|
이메일구독
|
공지알림
|
개인정보보호
|
기사제보
신문등록: 서울 아00174호[2006.2.16, 발행일:2005.12.23]. 발행인·편집인: 양기용. 서울시 중랑구 겸재로 49길 40. Tel: (02)433-4763. seoulpost@naver.com; seoulpostonline@kakao.com Copyright ⓒ2005 The Seoul Post. Some rights reserved. 청소년보호책임자: 양기용. 서울포스트 자체기사는 상업목적외에 전재·복사·배포를 허용합니다. ![]() ![]() |